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

수집 시작합니다. 시작해요. . 수집 . . coming soon 2025. 3. 17.
Day 11 Lesson 22. 사용자 리서치란? 이번 챕터는 사용자 리서치에 대해 다룬다. UXer은 아주아주 '을'인갑다 절대! 사용자 탓을 하지 말란다. 혹시라도 아니 아주 쪼오끔이라도 탓하고 싶다면? 탈락!!!! 준비가 안돼있는 거란다. 호되게 혼남. 언제 하느냐보다 무엇을 하느냐가 중요하다. 리서치를 어느 시점에서 하는게 좋은지 말들이 많은데 그것보다 '뭘 알고 싶은지'가 젤 중요하다. 두가지 유형으로 나눠본다 주관적 리서치 : 사실x, 느끼는 감정, 그것이 가져오는 기대감 같은 것임 ex) 당신은 이 어플을 사용할 때 마음이 편안한가요? 무슨 색을 좋아하십니까? 객관적 리서치 : 사실을 의미, 내가 바꿀 수 있다고 해서 바꿀 수 있는게 아니다. ex) 이 어플을 알게된 경로가 어떻게 되나요? 이 바지 사이.. 2022. 10. 5.
Day 11 Lesson 19. 동기: 지위 소셜 네트워크와 게임을 작동시키는 또 다른 동기는 남들보다 뛰어나고 싶은 마음, 즉 통제하고, 비교하고, 경쟁하고 싶어 하는 욕구다. '통제하고' : 사용자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둬라. 대신, 실수를 방지하고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한번 더 확인한다던지, 경고문구 같은 걸 넣어 디자인하면 좋겠다. '비교하고, 경쟁하고' : 사람은 누구나 최고가 되고 싶어한다. 오죽하면 일등만 알아주는 세상! 하고 설움을 토하겠냐. 이런 경쟁심리를 이용해라. 프로필에 자신을 과시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거나.. 팔로워수나 좋아요수를 이용해도 괜찮을 듯. 예전 싸이월드 투데이수로 비교하던게 생각난다. 그당시 넷상 최고 인기의 척도 어쨌든 사람들은 자신이 얻은 명성이나 인기,.. 2022. 10. 4.
Day9 어제 얘기했던 인간의 동기들에 대해 자세히 얘기해보겠다 Lesson 17. 동기: 사랑하는 대상 조금 은밀한 얘기를 했다. 섹스와 사랑에 대해 솔직히 섹스에 관해 무슨 말을 한진 모르겠다 아마 더 매력적이고 자신의 취향에 맞는 상대를 찾기 위해 사진, 동영상, 설명 같은 정보를 적극 제공하란 말 같다. 내가 공감한 건 사랑에 관해 말한 부분이었다. 사랑은 희망이며, 꿈이며, 배려이며, 관심이며, 무지개이며, 햇살이다. 라는 말이 참 좋다. 사랑은, 다른 사람의 동기에 응답하려는 동기이다. 내가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하면 그 다른 사람도 나를 행복하게 한다. 사랑하면 닮는다 하지 않던가. 사람은 자신과 비슷한 가치관을 찾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수많은 사람 중 자신과 비슷한 사람을 찾을 수 있도록 디자인해.. 2022. 9. 29.
Day8 Lesson 15. 감정이란 감정은 크게 이득과 손실로 볼 수 있다. 이득을 얻으면 행복할 것이고 손실을 보면 불행을 겪을 것이다. 감정은 동기랑은 또 다른 개념이다. 우리가 사용자에게 그저 '행복'만 주면 될 것인가? 너무 행복행복행복....만해도 지루해 원하는 것도 얻게 해줘야지! 그게 바로 '동기'이다 정리하자면, 동기란 원하는 것이고, 감정은 원하는 것을 얻거나 잃을 때 느끼는 것이다. 사용자가 자기가 얻은 이익과 손실에 대해 유용한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점수나 배지, 단계, '좋아요', 팔로워 등 어떤 방식의 피드백이든 줄 수 있다. 시간은 감정을 더 복잡하게 만든다. 우리는 사용자에게 미리 주는 정보로 사용자를 기대하게 할수도 있고, 실망하게 할수도 있다. '불안'하게 하지 마라. 필요한 신.. 2022. 9. 16.
Day7 Lesson 13. 경험이란 1.사용자가 느끼는 것 2.사용자가 원하는 것 : 모든건 여기에 달려있다.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달라지기도 3.사용자가 생각하는 것 : 사용자의 생각은 '벽돌'로 생각하자 많으면 많을수록 무겁다. 버리고싶다. 4.사용자가 믿는 것 : 사용자가 믿기도 전에 뭘 믿을지 알 수 있을 정도로 생각해야 한다. 5.사용자가 기억하는 것 :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우리의 기억력은 좋지 않다. 사용자를 기억하게 해야한다. 6.사용자가 깨닫지 못하는 것 : 사용자가 인지도 못하게 디자인해야한다 자연스럽게 ~ 넘어갈 수 있게 Lesson 14. 의식적 경험 vs 무의식적 경험 의식적 경험 : 사용자가 명확히 그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분명하게 이끌어야 한다. 무의식적 경험 : 예를들어 내가 만든.. 2022. 9. 14.